[한국어] 자랑스러운 한국어 "한글" 에 대해서 함께 알아볼까요?

한국인이 사용하는 언어! "한글" 은 주로 한반도 전역 및 제주도, 울릉도, 독도 이외의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의미하며 한국어[Korean Language, 韓國語]
라고 합니다.
한반도를 중심으로 하여 전 세계의 약 8천만명에 이르는 인구가 사용하고 있는데, 한국어의 어휘체계는 순수한 고유의 말과 한자어, 차용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 순수한 고유의 말 속에 침투된 한자어는 고대 중국과의 문화적 접촉으로 많은 영향을 받았고 현재 한국어의 많은 부분이 한자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삼국시대에(고구려,신라,백제) 때 한문이 문자생활의 기초가 되었고, 19세기 말 근대화 이전까지 계속되었습니다.
15세기 중엽, 독창적인 고유의 문자인 한글을 제정한 이래 전해 내려오는 상당 수의 국어 문헌에서 국어 속에 한문이 침투된 실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차용어는 각 시대에 따라 문화 접촉의 상황을 반영하는데, 고려시대에는 몽골어, 조선시대에는 중국어가 차용되었고, 20세기 근대에 들어서며 근대화 과정에서 구미어가 차용어의 주류를 이루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의 말을 정확하게 표기할 수 있는 문자인 "한글"
세계의 많은 문자들이 누가, 언제, 왜, 어떻게 만들어 졌는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한글은 누가 언제 만들었는지 정확하게 알려져 있는 문자입니다.
한글은 1443년 세종대왕과 집현전 학자들이 만들었는데,
한글의 처음 이름은 "훈민정음(訓民正音) :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라고 불려졌습니다.
그리고 세종대왕은 "나라말이 중국과 달라 백성들이 말하고 싶은 것이 있어도 제 뜻을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가 이를 딱하게 여겨 새로 28자를 만들었다." 라고 하시며
훈민정음을 만든 뜻을 밝혔습니다.
그 당시에는 우리의 문자가 없었기 때문에 조상들께서는 중국 문자인 한자를 빌려 썼는데, 말과 글이 다르고 한자라는 문자가 어려워 백성들이 배우고 사용하기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세종대왕은 백성들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쉽게 배우고 사용할 수 있는 문자를 만들었습니다.

* 독창적이고 과학적인 "한글"
세계 많은 나라에서 사용중인 문자는 거의 알파벳이나 한자 등의 선진국의 문자를 빌려서 자신의 나라에 맞게 고친 형태를 많이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글은 다른 나라 문자의 영향을 받아서 만들어진 것이 아닌 발음기관과 천지인(天地人)의모양을 보고 만든 독창적인 문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음의 경우 발음기관을 본떠서 만들어 글자의 모양만 보고 글자의 소리를 알 수 있으며 글자에 획을 더해 같은 계열의 문자를 파생하는 방법은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입니다.(예)ㄱ,ㅋ,ㄲ
모음의 경우는 하늘의 둥근 모양을 본뜬 "·", 땅의 평평한 모양을 본뜬 "ㅡ", 사람이 서있는 모양을 본뜬 "ㅣ"를 결합해 만들었습니다. (예) 'ㅏ' --> 'ㅣ' + ' · '
* 한글이 우수한 이유?
한글이 우수한 이유는 다른 문자와 비교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한자와 비교해보면 한자는 문자 각각의 의미를 나타내는 표의문자이기 때문에, 수 많은 문자의 모양과 의미를 다 외워야 하는데 기본적 생활을 위해 3천~5천자의 문자를 외워야합니다.
또, 영어의 A 에는 9가지의 소리가 있고 F에는 11가지의 소리가 있기 때문에 단어마다 경우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헷갈릴 수 있습니다.
반면, 한글은 소리를 나타내는 문자인 표음문자이기 때문에, 24개의 문자만 익힌다면 조합을 통해
수없이 많은 단어들을 만들수 있기 때문에 편리한
언어이고 과학적으로 우수한 언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세종대왕 상" 아시나요??
세종대왕상은 매년 유네스코(UNESCO : 유엔 교육-과학-문화 기구) 에서 문맹을 없애는 공이 큰 사람, 단체에게
주는 상을 말하는데 우리나라는 문맹자가 비교적 낮은편이지만 세계적으로는 아직 매우 많이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제안으로 유네스코에서 1989년 6월 세종대왕 상을 만들었고, 1990년부터 매년 문맹퇴치의 날인 9월 8일에 시상하고 있습니다.
이 상의 이름을 세종대왕 상으로 지은 이유는 훈민정음의 창제 동기가 문맹 퇴치에 있었고, 세종대왕이 배우기 쉽고 사용하기 쉬운 문자인 한글을 만들어 문맹 퇴치에 이바지했기 때문입니다.
지금까지 한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한국어에 관심있으신분 소통해요~^^
감사합니다, Andrew 였습니다😀😀
